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조영민 차장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대통령과 여당 대표 이렇게 만나기가 어렵네요 <br><br>대표라는 단어 앞에 여당을 야당으로 바꿔도 이상하지 않으리 만큼 둘의 만남이 참 어렵습니다. <br><br>결국 독대는 불발됐습니다. <br> <br>독대 불발의 이유를 쉽게, 두 가지 키워드로 정리해봤습니다. <br> <br>Q2. 이야기 들어봅시다. 왜 불발된 거에요? <br><br>첫 번째 이유는, '언론 노출'입니다. <br> <br>한 대표가 대통령에게 독대를 요청한 사실이 기사화 된 것을 말하는 겁니다.<br><br>대통령 체코 갔다가 어제 귀국했죠. <br> <br>공군1호기가 서울공항에 도착한 직후, 독대 요청 기사를 접했고, 상당한 불쾌감을 표한 것으로 파악이 됩니다. <br><br>Q3. 독대 요청 기사가 그렇게 불쾌할 일인가요? <br><br>대통령실 핵심 관계자 이렇게 말합니다. <br><br>"독대를 요청하면 요청한 거지 그걸 언론에 사전 노출시키는 건 무슨 경우냐" 여기서 '노출시켰다'라는 말이 핵심입니다. <br> <br>언론에 노출시켜서 본인의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한 대표의 '자기 정치'로 보는 겁니다. <br><br>Q4. 불신이 꽤 깊어 보이는 군요. 두 번째 이유는 뭡니까? <br><br>'만나봤자' 라는 말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독대를 해서 할 말이라는 것 이미 다 안 다는 취지입니다.<br> <br>Q5. 만나보지 않고도, 무슨 얘기가 나올지 다 안다는 건가요? <br><br>'의료문제' '김건희 여사 이슈' 당연히 나올 이야기겠죠. <br><br>근데 대통령 입장에서는, 한 대표가 무슨 얘기할 지 뻔히 다 안다는 겁니다. <br><br>이미 언론 통해서 여야의정 협의체 의제 제한 없이 하게 해달라, 김 여사, 선제적으로 사과해달라, 한 대표의 생각을 다 알고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보통 만찬에 앞서 대통령은 당 대표와 원내대표 등 소수와 티타임을 갖습니다. <br><br>정말 긴히 해야 할 말이면 그 자리에서 하면 될 일이지 굳이 독대할 필요 없다는 생각이 강합니다.<br><br>Q6. 한동훈 대표는 상당히 아쉬워하던데, 대통령실 인식에 뭐라고 합니까? <br><br>일단 언론에 독대 요청 노출시킨 적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그리고 설령 노출이 된 들, 그게 본질이냐는 인식도 읽힙니다.<br><br>원희룡 전 장관도, 친윤 의원도 잘 만나면서, 왜 여당 대표 독대에만 과정을 따지는 지에 대한 불편한 기색도 읽힙니다.<br><br>Q7. 만나봤자 무슨 말 할지 안다는 대통령실 인식에는 뭐라고 해요? <br><br>한동훈 지도부는 지금 용산이 상황 파악 제대로 되는 것 맞느냐 되물었습니다.<br><br>의료 문제도, 김 여사 문제도 민심이 심각하다는 걸 정말 제대로 아느냐는 거죠. <br><br>독대에서 전달하려 했다는 건데요. <br><br>한 대표 측, 지금은 정부가 인식을 바꿔야 할 때고, 그런 걸 전달하라는 민심으로 탄생한 게 한동훈 지도부다 이런 생각입니다.<br><br>Q8. 내일 만찬은 제대로 되는 겁니까? <br><br>양측, 만찬에 대한 규정부터가 다릅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새 지도부 '격려 차원'의 자리라 했습니다. <br><br>한 대표 측은 '민심 전달'의 자리로 보고 있습니다.<br> <br>한 대표 측 "하나마나한 당정 화합 외치며 웃으면서 건배하면 국민이 얼마나 우습게 보겠냐"는 말도 했지만, 그렇다고 대놓고 각세우기도 부담이라 고심이 깊습니다. <br> <br>양 측의 이견만 확인하는 자리가 될 수도 있어 보입니다. <br> <br>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조영민 차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